사업의 내용
사업의 내용 부분입니다.
정말 사업의 모든 내용을 다 풀어주는 목차예요.
어떤 사업을 하는지, 무엇을 판매하는지, 어떤 원재료를 사용하는지 매출의 큰 그림 등
이 기업의 큰 그림은 다 여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같이 보실까요?
사업의 개요
쌍용 C&E는 시멘트 사업이 주된 사업임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 점유율은 무려 20% 이상이고 매출의 58%를 담당하고 있네요.
여기서도 알 수 있는 주요 내용이 있습니다.
저희가 쌍용 C&E를 파고들 때는 시멘트가 가장 핵심요소라는 걸요.
환경자원사업부문은 아직은 매출이 10% 정도밖에 차지 못하고 있지만
설비투자를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며 ESG와도 밀접해 보이니 조금은 관심을 가져도 되겠어요.
레미콘사업부문은 20% 정도나 됩니다.
이 정도 매출지분이면 상당히 많네요. 게다가 국내에서 가장 오랜 사업 경험을 가졌다고 하네요.
이게 점유율이 가장 높다는 말은 아니겠지만 아무래도 노장은 다 이유가 있겠죠?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위에서 확인했던 사업의 개요를 좀 더 자세히 숫자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볼까요? 3년 평균 시멘트 매출 비율은 59% 정도로 역시 많은 비중입니다.
매출 비중은 꾸준한 게 중요합니다! 꾸준히 증가한다면 금상첨화겠죠.
혹 주요 매출이 증가하는데 비율은 증가하지 못한다면 어딘가 잘못 굴러가고 있는 게 아닌가 의심해야 합니다.
환경자원사업은 매출액과 비율이 우상향 하고 있는 게 확인되네요.
나중에 투자 부분에서 확인해야겠지만 아마 많은 투자가 진행되고 있거나
기업이 특별히 신경 쓰고 있는 부분일 수도 있습니다.
레미콘사업은 특이사항 없이 든든하게 20% 를 지켜주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시멘트와 같이 매출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제품들은 가격변동도 작성되어 있으니
한 번씩 훑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원재료 및 생산설비
쌍용 C&E도 결국 원재료로 시멘트를 제조해서 판매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원재료 매입을 해야겠죠?
그런 것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쌍용 C&E뿐만 아니라 종속 기업들까지 다 작성되어 있습니다.
원재료는 어디서 사 오는지, 그 사 오는 기업의 매입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등등이요.
또한 원재료의 가격변동으로 인하여 매출이 큰 폭으로 출렁이기 때문에
가격변동까지 기록해 준 모습이 보입니다.
원재료의 가격이 조금씩 오르고 있는 게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이 가공제품의 가격을 변동하지 않는다면
투자는 반려해야겠죠?
가동률도 제조업 쪽에서는 중요한 수치인데요.
떨어지지 않는지 혹 떨어졌다면 주석을 찾아봐서 사유가 자세히 작성되어 있는지
(신사업 투자, 설비의 노후화 등등)
꼭 꼭!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 사업의 내용 마무리 하겠습니다!
'다빈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사업 보고서에 대하여-1 (1) | 2023.04.16 |
---|---|
주식) 전자 공시에 대하여 (0) | 2023.04.16 |
주식) 조삼모사의 원숭이들(금리에 대하여) (0) | 2023.04.06 |
주식) 다운탑 투자에 대하여 (0) | 2023.03.08 |
주식) 탑다운 투자에 대하여 (2)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