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빈/주식

주식) 전자 공시에 대하여

by 연만괴 2023. 4. 16.

전자 공시란?

상장법인 등 즉 저희가 주식에서 볼 수 있는 기업들이 사업보고서, 감사보고서, 영업보고서 등

기업공시서류를 인터넷에 제출하여 일반 투자자들도 기업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만든 시스템입니다.

요새는 주식 어플이 좋아져서 주식 어플에서도 간단하게 공시나 재무제표등을 확인할 수 있지만

아무래도 상세한 내용은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확인하는 게 제일 정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자 공시 사용법

사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일반 웹사이트에서 전자 공시라고 검색하면 바로 나오거나 혹여나 헷갈리시면 링크를 활용하시면 되는데요.

전자공시-검색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클릭!

 

https://dart.fss.or.kr/

 

전자공시시스템

많이 본 문서 최근 3영업일 기준 가장 많이 본 공시를 보여줍니다.

dart.fss.or.kr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면 이런 화면을 보실 수 있을 거예요.

전자-공시-홈페이지
전자 공시 시스템의 홈페이지 화면

 

공시통합검색은 회사명/종목코드 입력 후 그 기업의 모든 보고서를 조회 가능한 검색입니다.

 

정기 공시 항목별 검색은 사실 사용할 일이 별로 없으실 텐데요, 통합검색에서 구체적 조건을 걸어놓은 검색입니다.

 

한번 검색을 직접 해볼까요? 제가 가진 것 중에서 고르겠습니다. 

제가 가진 종목은 쌍용 C&E (003410)입니다.

여기서 뒤에 괄호 속의 숫자는 종목코드입니다.

별로 중요치 않아 보이지만 기업명이 비슷하거나 혹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 기업은 영문이 섞여 한글로 

변환해서 등록되어 있을 경우인데요, 이럴 때는 종목코드로 검색하는 게 좀 더 편합니다.

당장 쌍용 C&E 만 봐도 전자공시에서 영문을 섞어 검색하면 나오지 않고

쌍용씨앤이라고 검색해야 나오거든요.

그러니 혹시 공시가 궁금하신 기업에 영문이 섞여있다면

처음부터 종목코드로 검색하시는 게 편하실 거예요.

전자공시-속-기업-검색-후-사진
기업 검색 후 보게 되실 화면

이 화면까지 들어오셨다면 거의 다 끝났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입맛에 맞게 기업에 대해 궁금한 점을 다 볼 수 있거든요.

기간에서는 간단하게 날짜 조정을 하셔서 원하는 날짜 별로 조회가 가능하시고요.

공시유형에서도 보고 싶은 보고서만 골라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정기공시에서 사업보고서만 10년 치로 당겨서 보고 싶네요.

보통 기업의 재무제표는 10년 치는 봐야 하는 게 정석이니깐요.

다트시스템-활용방법
활용법 예시

잘려서 안 나오지만 이러면 13년부터 22년까지 사업보고서를 전부 확인할 수 있겠죠?

이 외에도 새로운 계약 체결, 배당 공시, 등등 많은 것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기가 투자한 기업이라면 가끔 한 번씩 확인해 주시면 좋겠죠? :)

 

 

마치면서..

오늘은 마치면서 드릴 말씀이 딱히 없네요!

제가 요새 재무제표 공부에 빠져서 글 쓰는 것도 좀 뜸해지고 있었는데

다음 글은 사업보고서에 대해서 작성해 보아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럼 다들 성투하세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