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도투자란?
현저히 낮은 리스크로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법입니다.
즉 로우 리스크 하이 리턴이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비법은 해자를 찾는 것입니다.
이 해자는 기업에 적용될 수도 있고, 본인의 투자법이 될 수도 있습니다.
파브라이가 소개한 단도투자 원칙을 9가지를 말해보려고 합니다.
단도투자의 9가지 원칙
1. 기존 사업에 투자하라. 주식투자는 적은 자본으로 간단히 기존 기업을 사들이는 방법이다.
좋은 성과를 내려면 확률이 크게 유리할 경우에만 투자해야 한다.
너무나도 탐나는 기업이지만 보통 기업을 사들이려면 엄청난 자본이 필요하죠?
그 자본을 줄인 시장이 바로 주식시장입니다. 저희는 주식을 매수할 때 인수한다는 마음으로 매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 단순한 사업에 투자하라. 내재가치를 간단히 산출할 수 있는 단순한 사업에 투자해야 한다.
단순한 기업이란 이해하기 쉬운 기업, 즉 과거 매출과 현금 흐름 등을 이용해
미래 현금흐름과 비용을 쉽게 추 정할 수 있는 기업이다.
자신이 이해할 수 없는 사업, 유명한 일화로는 버핏은 IT 버블에 자기가 알지 못하는 기업은 투자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피터 린치는 경영이 단순하여 바보가 와도 운영할 수 있는 사업이 좋다고 했었죠.
3. 침체된 업종의 침체된 사업에 투자하라.
시장이 집단적으로 극단적 공포에 빠질 때 자산가격은 내재 가치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파브라이는 사고파는 행위가 아니라 기다림을 통해 돈을 벌 수 있다는 찰리 멍거의 조언을 늘 마음에 새긴다.
이게 제가 평소에 좋아하는 가치투자 방법이죠?
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전제 지수의 하락으로 인해 같이 하락하거나
잠깐의 악재로 기업의 가격이 크게 내려갔을 때 매수하는 방법입니다.
4. 견고한 해자를 갖춘 사업에 투자하라. 기업의 해자는 재무제표에 숨겨져 있다.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를 이용해 투입 자본과 그 자본으로 벌어들인 수익을 확인한다.
이게 단도투자의 핵심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견고한 해자가 있다면 기업의 가치는 쉽게 훼손되지 않을 것이고 훼손된다고 하더라도 많은 이익을 얻은 후 일 것입니다. 아무리 강력한 해자를 갖춘 기업이라도 그 성은 결국 함락될 것이지만
견고함에 따라 회사가 가져가는 이익은 천차만별이겠죠?
5. 확률이 높을 땐 가끔씩, 큰 규모로, 집중 투자하라. 투자 횟수를 줄이고, 일단 투자할 때는 규모를 키운다.
저평가된 투자대상을 찾고 확률이 압도적으로 유리할 때 크게 투자하는 것이야말로 부를 창출 하는 열쇠다.
버핏도 지금 자신을 만든 기업은 20개가 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물론 중간중간 여러 가지 기업들로 수익률을 늘려왔겠지만요.
하지만 정말 확신이 들 때는 큰 규모로 집중적으로 투자하여 기회를 잡아야 된다고 합니다.
그런 기업들이 보통 말하는 10루타, 1000% 수익률을 말하는 거겠죠?
저 같은 경우는 투자 초기에 HMM 놓친걸 굉장히 후회하고 있습니다... 정말 아쉽습니다만
다음에 또 공부하다 보면 기회가 올 거라고 믿습니다.
6. 차익거래 기회에 집중하라.
차익거래는 사실상 위험은 전혀 부담하지 않으면서 투자 자본 대비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기회다.
차익거래 기회는 차별적 우위에 기인한다.
버핏은 차별적 우위를 파악하고 그 지속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투자의 핵심이 있다고 강조했다.
차익거래는 예를 들어서 A마을은 금이 100원, B마을은 110원이어서 단순 거래만으로도 이득을 보는 구조인데요,
음.. 저는 개인적으로 차익거래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읽고 궁리해 봐도 활용하기가 너무 까다롭고
찾는다고 해도 전문가적인 민첩함이 아니라면 이득을 거두기 어렵다고 생각했습니다.
7. 늘 안전마진을 추구하라.
주가가 내재가치를 크게 하회할수록, 즉 안전마진이 클수록 시장이 하락하더라도 큰 손실을 피할 수 있고
향후 주가가 내재가치에 수렴할 때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가치투자의 일부분입니다. 예를 들어서 200일 가까이 하락을 겪는 기업이 있다고 하면 실적 발표가 나쁘더라도 사람들은 그런가 보다 하고 넘어가는 경향이 큽니다. (애초에 기대를 안 하는 것이죠.)
반면에 맨날 우상향 하는 신사업이 성장할 곳을 잃어 실적이 꺾인다면 시장은 엄청나게 실망할 것입니다.
벤자임 그레이엄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필요가 없도록 만드는 것이 안전마진의 본질적 기능이다'
8. 위험은 적고 불확실성은 큰 사업에 투자하라. 시장은 위험과 불확실성을 혼동한다.
위험은 적고 불확실성은 높은 투자대상을 찾아내 주식시장의 약점을 공략하고 기회로 활용한다.
위험과 불확실성은 굉장히 다르다고 합니다.
적은 위험은 불확실성(유가가 고유가가 된다거나 시장이 전체적인 침체를 겪거나)에서 실패해도 계속 도전할 수 있고
버틸 수 있지만 고 위험(투자자본이 크거나, 기업의 명운을 걸거나, 다시 일어날 수 없을 정도)은 아닌데요.
이 둘을 잘 비교하여 투자하면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9. 혁신 사업이 아닌 모방 사업에 투자하라. 투자는 독창성을 겨루는 게임이 아니다.
맥도날드와 마이크로소프트는 차용과 확장을 거듭해 성공한 대표적 사 례다.
파브라이 역시 버핏 파트너십의 구조와 운영 방식을 파브라이 펀드에 차용했다.
혁신은 불확실한 도박이지만, 차용과 확장은 적은 위험을 수반하면서 상당한 보상을 가능하게 합니다.
여기까지가 단도 원칙 9가지였습니다.
마치면서..

여러 가지 예시를 들었다면 조금 더 이해에 도움이 되셨을 텐데
그건 조금 아쉽지만 단도 투자가 어떤 것일까?라는 궁금증을 가진 분들에게는 충분한 도움이 되었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원칙을 가져갈 필요는 없겠지만 자신에게 도움 되는 원칙 하나라도 있었다면 이 글을 쓴 보람이 있겠네요.
그럼 모두 성투하세요 ^__^
'다빈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다운탑 투자에 대하여 (0) | 2023.03.08 |
---|---|
주식) 탑다운 투자에 대하여 (2) | 2023.03.08 |
주식) 분산투자에 대하여 - 2 (2) | 2023.02.26 |
주식) 분산투자에 대하여 -1 (2) | 2023.02.21 |
주식) 나만의 주식 엑셀 -2(Feat. 분산투자) (0) | 2023.02.17 |